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는 원·달러 환율, 이번엔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,380원을 돌파했는데, 이게 끝이 아닐 거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달러 초강세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달러의 몸값이 치솟는 이른바 '킹달러'시대가 열렸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무엇이 킹달러 시대를 만들었을까요? <br /> <br />첫째는 이미 많이 들어보셨겠지만,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최근 수차례 기준금리를 대폭 올리면서 시중에 풀린 달러를 회수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달러 공급은 줄어드는 데 수요는 늘다 보니까, 달러 가치가 급등하는 건데요. <br /> <br />여기에 기름을 부은 게 바로 잭슨홀 미팅에 참석한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발언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 물가 잡을 때까진 높은 금리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기조를 내비치면서 달러 강세를 부채질했죠. <br /> <br />두 번째 이유는 유럽의 유로화 약세입니다. <br /> <br />보통 달러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 달러 대신 유로화나 엔화로 수요가 분산되는 측면이 있었는데, 최근 유로화의 가치 추락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은 현재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제한으로 전례없는 에너지 위기를 맞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여기에 극심한 가뭄까지 겹쳐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유로화보다는 달러화를 선호하는 현상은 더욱 강해졌죠. <br /> <br />전 세계적인 달러 초강세, 그리고 올해만 벌써 13%까지 치솟은 원·달러 환율, 우리나라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? <br /> <br />일단 수입물가가 오릅니다. <br /> <br />우리 기업들이 외국에서 사오는 물품이 비싸지다 보면 그만큼 최종 소비자가 내는 금액도 오르겠죠. <br /> <br />따라서 국내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경기 침체 위기도 커지는 겁니다. <br /> <br />결국 1998년 IMF 외환위기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지만, 한마디로 그때와 지금은 다릅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한국은행은 현재 우리의 '외환 건전성에 문제가 없다'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국가 경제의 방파제 역할을 하는 외환 보유액이 7월 기준으로 세계 9위 수준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그럼에도 8월 외환보유액이 한 달 새 22억 달러 가량 감소하면서 시장의 우려는 커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외환 보유액이 아직 부족하지 않을 뿐더러 경상수지 흑자 등 한국 경제의 기초 체력도 과거 외환위기 때와는 다르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, 킹달러 폭격에 신흥국들부터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90718461955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